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5)
블록체인 용어 정리 - 3 (사이드체인, 스테이트 채널, 롤업, 플라즈마, 발리디움) Layer 2 L2에 대표적으로 사이드체인(Sidechain)과 L2 솔루션(스테이트 채널, 롤업, 플라즈마, 발리디움)이 있습니다. 사이드체인 사이드체인은 메인 체인과 양방향 브릿지로 연결된 블록체인을 의미합니다. 사이드체인은 메인 체인 기준으로 외부에 연결된 블록체인으로 오프체인 구조입니다. L1에 연결된 L2 블록체인은 사이드체인에 해당하며, 위의 인터체인 예시에서 코스모스의 Hub & Zone 구조의 블록체인에서 Zone은 Hub의 사이드체인이 됩니다. 따라서 L1인 이더리움을 기준으로 봤을 때, 사이드체인은 이더리움을 확장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L2 솔루션이 아닌, L2 프레임워크가 됩니다. 사이드체인은 L1의 메인체인과 다른 블록 생성 주기나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이드체인으로 이..
블록체인 용어 정리 - 2 (크로스체인, 인터체인, 브릿지) Layer 0 L0에 대표적으로 크로스 체인(Cross Chain), 인터체인(Interchain), 브릿지가(Bridge) 있습니다. 크로스 체인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 암호화폐, NFT 등을 교환하는 기술과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크로스 체인을 통해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성이 이루어집니다. 인터체인은 크로스 체인을 구현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에 상호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현입니다. 브릿지는 크로스체인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브릿지는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연결하여 자산이나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주로 크로스체인 브릿지로 불립니다) 크로스 체인과 인터체인 모두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Hyperledger Indy SDK 맥북(M2) 환경에서 구동하기 Hyperledger Indy 공식 Docs를 보면 다음과 같이 SDK 관련된 예시 파일 구동하는 것에 대한 과정이 있습니다. 윈도우 환경이라면 빌드나 도커 사용에 문제가 없지만, 맥북에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면 자동적으로 ARM64으로 환경이 설정되어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식 Docs에 제공된 예시는 리눅스 환경에서 작성되었기 때문에 AMD64으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해야됩니다. 이점 유의해서 기본 설정을 변경하면 문제 없이 Hyperledger Indy SDK 튜토리얼 파일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 1. Indy SDK 클론 터미널을 열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입력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hyperledger/indy-sdk.git cd indy-sdk code . 으..
자주 사용하는 블록체인 단어 A to Z 안녕하세요, 자주 사용되는 블록체인 용어를 알파벳 순으로 정렬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Active Wallet 블록체인에서 해당 기간 내 한 번이라도 트랜잭션이 발생한 지갑, 혹은 주소를 뜻합니다. 일일 활성지갑 수와 같은 지표를 통해 간접적으로 매일 얼마만큼의 유저가 활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dress 주소는 한 유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나타내는 공개키입니다. Airdrop 기존 암호화폐 소유자들에게 무상으로 코인을 배분하여 지급하는 행위로, 주식에서 '무상증자'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AMM (Automated Market Maker) MM은 자동화된 시장 제조업자를 의미하며, 분산형 거래소에서 사용되는 거래 메커니즘입니다. AMM은 예치된 자산의 유..
블록체인 용어 정리 - 1 (레이어 관점에서의 블록체인) 여러 블록체인 용어 중에 크로스체인, 인터체인, 브릿지, 사이드체인, 스테이트 채널, 롤업, 플라즈마, 발리디움,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대한 정리를 진행해보겠습니다. 레이어 관점에서의 블록체인 Layer 0(블록체인 인프라) L1 아래에서 실행되는 블록체인 인프라 역할, L0 생태계를 통해 L1 블록체인 간 통신이 가능하며, 하드웨어, 서버, 노드가 포함됩니다 크로스체인, 인터체인, 브릿지 Layer 1(블록체인) 가장 기본이 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트랜잭션 생성하고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레이어가 포합됩니다 Layer 2(블록체인 개선 프레임워크) L1의 확장성과 속도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L1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사이드체인, 스테이트 채널, 롤업, 플라즈마, 발리디움, 라이트닝 네트워크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