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자주 사용하는 블록체인 단어 A to Z

안녕하세요, 자주 사용되는 블록체인 용어를 알파벳 순으로 정렬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Active Wallet 블록체인에서 해당 기간 내 한 번이라도 트랜잭션이 발생한 지갑, 혹은 주소를 뜻합니다. 일일 활성지갑 수와 같은 지표를 통해 간접적으로 매일 얼마만큼의 유저가 활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dress 주소는 한 유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나타내는 공개키입니다.
Airdrop 기존 암호화폐 소유자들에게 무상으로 코인을 배분하여 지급하는 행위로, 주식에서 '무상증자'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AMM (Automated Market Maker) MM은 자동화된 시장 제조업자를 의미하며, 분산형 거래소에서 사용되는 거래 메커니즘입니다. AMM은 예치된 자산의 유동성 풀을 통해 거래를 진행하며, 스마트 계약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가격을 결정합니다.
Appchain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해 구축된 블록체인으로, 메인 체인이나 사이드체인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됩니다. 앱체인은 특정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맞게 최적화되어 있으며,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 사례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Asset Tokenization 실물 자산(부동산, 예술품 등)을 블록체인 상의 토큰으로 대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자산의 분할 소유, 유동성 향상, 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 증대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Authentication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서는 공개 및 개인키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고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Blockchain Explorer 블록체인상에서의 거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익스플로러(이하 블록 익스플로러)'도 주요 인프라로 꼽힙니다. 블록 익스플로러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interface) 방식으로 블록체인상에서 벌어지는 거래 기록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BlockHeader 블록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 블록은 블록헤더, 거래정보, 기타정보로 구성되고 블록 헤더는 [버전, 이전블록해시, 머클루트, 타임스탬프, 난이도 목표, 논스]로 구성됩니다.
BlockHeight 제네시스 블록으로부터 현재 블록까지 블록이 만들어진 양을 나타내며, 이 수치를 높이로 표현합니다.
BlockMerkleRoot 머클루트를 이용해 해당 블록에 들어있는 모든 거래의 요약본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세부 거래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BlockMerkleTree 블록에 포함된 거래의 요약을 나무 형태로 만들며, 해시 함수를 통해 2개의 거래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묶는 방식을 통해 용량을 절약합니다.
BlockNonce 작업증명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변수. 이를 SHA256 해시함수에 입력해 출력되는 값을 가지고 연산하는데 이용합니다.
BlockReward 컴퓨팅 파워를 투입해서 가장 먼저 작업증명을 달성한 채굴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입니다.
BlockTimeStamp 블록이 생성된 시간입니다.
BlockVersion 블록의 버전번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추적 시에 이용됩니다.
Bounty 암호화폐나 거래소의 기술적인 부분에서, 코드에 오류나 시스템을 해킹하는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받는 보상. 보통 해당되는 가상화폐로 보상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술적인 면 외에도, 번역, 홍보등으로 가상화폐의 발전에 이바지하면 보상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Bridge 블록체인 브릿지는 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브릿지는 일종의 환전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Burning 암호화폐나 디지털 자산의 유닛을 영구적으로 소멸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보통은 불필요한 토큰을 제거하거나 유통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소각된 토큰은 더 이상 거래되거나 사용될 수 없으며, 이는 해당 자산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로, 기존의 실물 화폐와 달리 가치가 전자적으로 저장되며 이용자간 자금이체 기능을 통해 지급결제가 이루어지는 화폐를 말합니다.
CeFi (Centralized Finance) CeFi는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가리키며, 전통적인 금융 기관이나 중앙 집중화된 플랫폼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CeFi는 보통 은행, 주식 거래소, 중개인 등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며, 보안과 규제의 측면에서 신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Cex (Centralized Exchange) Cex는 중앙 집중식 거래소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거래를 중개하는 중앙 집중화된 플랫폼을 통해 자산을 교환합니다.
Chain of Chains 여러 개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는 스케일링과 상호 운영성을 개선하고 다양한 블록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Chaincode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계약의 개념으로, 체인코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들 간에 합의된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스마트 계약 코드입니다.
Child Chain hild Chain은 메인 블록체인의 일종의 하위 체인이며, 메인 체인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Child Chain은 메인 체인의 일부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개별적인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Circulating Supply 시중에 유통되어 거래되는 가상자산의 총량입니다.
Clien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를 검색하고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Cloud 클라우드는 중앙컴퓨터 내의 가상 저장공간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는 기기의 특정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Cloud Mining 클라우드 마이닝은 가사화폐를 전문 업체에 위탁해 채굴하는 방법입니다.
Cold Wallet 온라인 연결이 되지 않은 장치로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지갑입니다. 인터넷 공격에 노출되지 않아 해킹 위험이 줄어들며, 개인 키를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Confirm 암호화폐는 거래 시 인증받는 과정을 컨펌, 거래가 블록에 포함되어 발행되었는 가를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1컨펌이 출력되면 블록이 한 개 쌓였음을 의미하며, 블록 위에 블록이 쌓일 때마다 컨펌의 수도 증가합니다.
Consensus Algorithm 생성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토하여 블록체인에 반영 여부를 의사결정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Consortium Blockchain 미리 선정된 노드에 의해서 제어되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이의 반 중앙형 블록체인입니다.
Crosschain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해주는 기술이며, 직접적으로 토큰 교환은 없이 데이터만 교환할 수 있습니다.
Cryptocurrency 디지털 형태로 암호화된 자산으로, 분산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과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중앙 기관 없이 직접 소유 및 거래가 가능한 화폐 형태입니다.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외부의 통제와 상관없이 기능하고 중앙집권 식의 의사 결정 방식이 없는 그룹임을 의미, DAO의 구조는 일련의 규칙과 구조에 따라 누구나 참여하고 결 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중앙 서버에서 통제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사용자들 이 독립 노드가 되어 합의를 통해 정보를 나눠 통제하게 되는, 분산화된 어플리케이션입니다.
Decentralization 중앙 기관이나 단일 개체 대신 여러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권한과 결정이 분산되는 개념입니다.
DeFi (Decentralized Finance) DeFi는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의미하며, 중앙 관리자 없이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DeFi는 예금, 대출, 스왑 등 다양한 금융 활동을 제공하며, 개인이 자신의 자산을 직접 관리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Destination Tag 코인에 따라 데스티네이션 태그가 있는 경우가 있다. 리플(XRP)의 경우, 거래소나 핫월렛에서 지갑이 구현될 때 하나의 블록체인 주소를 갖고 있고 각 회원의 주소는 데스티네이션의 태그로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즉, 데스티네이션 태그는 ‘목적지’라는 뜻처럼 코인의 최종 주소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전송할 때 반드시 주소와 함께 입력해야 합니다.
Dex (Decentralized Exchange) 분산형 거래소를 나타내며, 중앙 집중식 거래소와 달리 중앙 집중화된 서버나 중개인 없이 자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보안성과 개인 정보 보호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키로 자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Distributed Encryption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기밀성과 보안을 유지하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Distributed Ledger 블록체인의 핵심 개념으로, 네트워크의 참여자들에게 중앙 관리자 없이도 동일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Double Chain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연결한 블록체인으로, 대표적으로 IoT 블록체인이 예시이며, 퍼블릭 블록체인이 메인넷이 되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에는 IoT 데이터가 기록이 되며, 사이드체인 방식으로 존재합니다.
Double Spending Problem 암호화폐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동일한 자산을 여러 거래에 동시에 사용하는 공격을 막는 것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중 지불 문제를 분산 장부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하여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보장합니다.
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자격을 갖춘 선택된 증인이 참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위임받아 블록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중 채굴과 그라인딩 어택에 대해 내성을 갖는 합의 프로토콜이라 평가받으며, 모든 참여자가 블록을 검증하는 것이 아닌 소수의 증인만이 블록을 검증하기 때문에 증명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ECDSA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으로, 개인키로 서명하고 공개키로 검증하여 안전한 거래를 보장합니다.
EEA (Enterprise Ethereum Alliance) 기업, 학계, 개발자, 상인들이 이더리움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나로 협력한 비영리 단체입니다.
ERC-1155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다중 자산을 단일 스마트 계약으로 관리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ERC-1155 토큰은 다양한 유형의 자산, 예를 들어 게임 아이템, 디지털 예술 작품 등을 하나의 계약으로 다룰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입니다. 이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산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유연한 토큰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ERC-20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ERC-20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생성하고 교환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으로, ERC-20 토큰은 잔액 확인, 전송 및 소유권 이전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됩니다.
ERC-721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고유한 비교 불가능한 토큰, 즉 논교환성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ERC-721 토큰은 각각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며, 예를 들어 게임 캐릭터나 부동산의 소유권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EVM (Ethereum Virtual Machine) 이더리움 가상머신으로 '전 세계 다수의 컴퓨터와 기기 등을 하나로 묶는 거대한 분산 컴퓨터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Fiat 법정화폐의 의미로, 법적으로 정부에 의해 그 가치가 보증받지만, 금과 같이 물리적인 실체에 의해 뒷받침되지는 않는 지폐를 뜻합니다.
First-Party Oracle 퍼스트파티 오라클은 데이터 검증자를 없애고 데이터 제공자가 바로 직접 데이터 소비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오라클을 말합니다.
Fraud Prevention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 투명성, 불변성 등의 특징으로 사기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블록체인은 거래 기록의 변경이 어렵고 거래의 투명성을 제공하여 사기 행위를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Full Node 전세계 모든 블록(장부)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개인과의 연결을 통해 내가 가진 블록 정보를 남에게 줄 수 있는 노드를 칭합니다.
Gas 가스는 이더리움 디앱에 적용된 스마트 계약이 실행될 때 들어가는 수수료 개념입니다. 가스라는 이름은 이 수수료가 스마트 계약의 움직임을 주도하는 암호 연료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Gas Limit 전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스(Gas)의 지불 개수를 의미합니다.
Gas Price 가스(Gas)의 가격으로 고정된 가격이 아닌 개인이 가스당 지불할 가격을 채굴자에게 제안할 수 있으며, 가스당 지불할 가격에 따라서 처리 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enesis Block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시작을 상징하는 첫 번째 블록으로, 이후 다음 블록이 지속적으로 연결됩니다.
Governance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운영과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 프로세스와 구조를 의미합니다. 거버넌스는 참여자들 간의 합의, 업그레이드 및 변경 사항 관리, 네트워크 규칙의 수립 등을 포함합니다.
Governance Token 거버넌스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구동하는 연료이며, 주로 시스템 내의 변경안과 개선안에 대해 지지 의사를 보내는데 사용됩니다.
Gwei Giga wei의 줄임말, 1기위는 0.000000001 ETH로 표현됩니다.
Hard Fork 기존의 블록체인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기존 방식의 장부기록방식에서 완전한 변화를 주 려고 할 때 두 갈래 또는 그 이상으로 체인이 갈라지며 업데이트 되는 체인이 생기는데 이것을 하드포크(hard fork)라 하며 완전한 두 체인의 노선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서로 호환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삼성 갤럭시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애플 아이폰의 iOs 운영체제가 전혀 호환되지 않는 것과 유사하고 할 수 있습니다.
Hard Wallet 블록체인에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은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있으며, 변경된 데이터는 새로운 블록에 추가되므로 블록체인의 데이터는 불변하고 변조가 어렵습니다.
Hashrat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채굴자들이 해시 알고리즘을 계산하는 속도나 처리량을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해시레이트가 높을수록 채굴자의 컴퓨팅 파워가 강력하고 네트워크의 보안성이 높아집니다.
ICO (Initial Coin Offering)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직접 코인을 전송하여 신규 코인을 받게 되는 방식입니다.
IDO (Initial Dex Offering) 탈중앙화거래소(DEX)에서 진행하는 코인 판매 방식입니다.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투자자가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간접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Immutability 블록체인에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은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있으며, 변경된 데이터는 새로운 블록에 추가되므로 블록체인의 데이터는 불변하고 변조가 어렵습니다.
Interchain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해주는 기술이며, 직접적으로 토큰 교환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Issuance 새로운 토큰에 대한 생성을 뜻합니다. 블록체인에서 블록 보상을 시행할 때 새로운 토큰을 발행해서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일 발행량과 같은 지표를 통해 매일 얼마만큼의 새로운 토큰이 발행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Keccak-256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다른 해시 알고리즘으로, 이더리움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데이터의 해시 값을 계산하기 위해 Keccak 함수를 적용합니다.
KYC (Know Your Customer) 금융기관이 고객과 거래할 때 신원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Layer 0 블록체인에서 가장 기본적인 레이어로, 물리적인 네트워크와 하드웨어를 의미합니다. 레이어 0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 구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Layer 1 블록체인에서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 레이어로, 보통 기본 블록체인 플랫폼 자체를 가리킵니다. 예시로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이 있으며, 레이어 1에서는 거래 처리, 블록 생성, 보안 및 합의 메커니즘 등이 이루어집니다.
Layer 2 레이어 1 위에 구축된 확장 기술이며, 블록체인의 확장성과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시로는 오프체인 스케일링 솔루션인 상태 채널과 플라즈마 등이 있으며, 레이어 2는 레이어 1 위에서 추가적인 트랜잭션 처리 및 스케일링을 수행합니다.
Layer 3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레이어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합니다. 레이어 3는 레이어 2의 위에서 구축되며, 예시로는 분산 금융 (DeFi), 게임, 사물인터넷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Lightning Network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상에서 오프체인으로 고속의 마이크로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Lightning Network는 양자 간의 다수 거래를 상호 연결된 결제 채널을 통해 직접 처리하며, 최종 결과만 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부하를 줄이고 거래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향상시킵니다.
Liquidity MM은 자동화된 시장 제조업자를 의미하며, 분산형 거래소에서 사용되는 거래 메커니즘입니다. AMM은 예치된 자산의 유동성 풀을 통해 거래를 진행하며, 스마트 계약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가격을 결정합니다.
Lockup 블록체인에서의 락업은 주식 시장에서 주식을 일정기간 팔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예수"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Main Chain 제네시스 블록으로부터 가장 최근의 블록까지 연결되어 있는 체인을 말합니다.
Mainnet 메인넷은 기존에 존재하는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플랫폼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하고 자체 지갑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Masternode 채굴의 일종, 사용자가 온라인 지갑에 많은 양의 가상화폐를 저장하면 네트워크가 블록체인 사용자의 거래를 유효화시키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시스템은 마스터노드에 코인을 저장하여 네트워크를 지지하는 사용자들에게 몇 %의 코인을 주기적으로 줌으로써 보상합니다.
Maximum Supply 미래에 발행될 양을 포함해 이론상 발행될 수 있는 최대 양을 뜻합니다. 최대 공급량이 정해져 있는 자산은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의 2100만 개가 있습니다. 반면 이더리움은 최대 공급량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Minting 암호화폐나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유닛을 생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발행은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고 해당 토큰을 분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발행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거나 사용자가 요청할 때 이루어집니다.
Multi-Signature 블록체인 거래에서 여러 개의 서명이 필요한 기능입니다. 멀티시그는 여러 참여자의 동의를 요구하므로 보안과 안전성을 강화합니다.
Multichain AnySwap으로 알려졌던 Multichain은 사용자가 블록체인 간에 토큰을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 소스 CRP(Cross-chain Router Protocol)입니다. 이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Layer 1(L1) 체인, L1 완결성이 필요한 Layer 2 체인, Polkadot Parachains 및 Cosmos 체인을 연결시킵니다.
Network 블록체인에서는 연결된 분산 노드들로 구성된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네트워크는 분산된 거래 처리와 블록 생성을 위해 노드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 작용합니다.
Node 블록체인을 배포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블록체인을 다운 받는 사람 또는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Offchain Offchain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데이터 또는 거래를 처리하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부하와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부 작업이 블록체인 상에서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보다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외부 프로세스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처리됩니다.
Onchain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온체인의 경우 모든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 내에 기록되기 때문에,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투자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Optimistic Rollup 블록체인 스케일링 기술로, 주요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직접 기록하지 않고, 상태 업데이트를 롤업 컨트랙트에 전달하여 처리합니다.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부정확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며, 모든 거래가 검증되지 않고 실행되지만, 검증자들은 필요에 따라 검증을 수행하고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태를 확정 짓습니다.
Oracle 오라클이란 블록체인 외부에 있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으로 가져오는 미들웨어입니다.
Oracle Problem 부 환경의 데이터(오프체인 데이터)를 고립된 네트워크의 성질을 띈 블록체인으로 전달해야 하는 과제를 뜻합니다.
Ordinals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디지털 자산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토콜으로, 비트코인에서도 NFT를 발행할 수 있게 합니다.
Orphan Block 두 블록이 동시에 승인되었을 때 주요 체인으로 연결되지 못한 블록을 말한다. 고아 블록에도 승인된 거래 내역이 담겨져 있으나 더는 주요 체인에 연결되지 못하고 따로 떨어져 존재하게 된다. 고아 블록은 두명의 채굴자들이 비슷한 시간대에 블록들을 생산하거나 또는 해커들이 거래를 교란시키려고 시도할 때에 생성될 수 있다.
P2E (Play to Earn) P2E 게임은 블록체인과 통합되어 플레이어에게 게임 내 암호화폐로 보상합니다. 이러한 게임 내 암호화폐는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으로 교환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부드러운 사랑의 물약(SLP)을 얻는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가 대표적입니다.
P2P (Peer to Peer)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인은 서로에게 동료이며 모두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특별한 노드는 존재 하지 않고 모든 노드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분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ending Transac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아직 확인되지 않은 거래를 의미합니다. 대기 중인 거래는 아직 블록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종적인 승인이나 거래 완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암호학 기술의 하나로,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 관리, 인증하는 시스템입니다. 사용자들 간의 안전한 통신과 데이터 보호를 제공합니다.
Plasma 플라즈마는 거래내역을 자식체인(Child Chain)에서 처리하고 최종 결과를 메인체인(Main Chain)로 전달하여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PoA  (Proof of Authority) 신분에 기반한 합의를 통해 거래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과 함께 사용되는 알고리즘. 지분 증명에서 수정된 합의 메커니즘 방식으로 행위자의 영향력을 무시하고 동작하며 개인의 신원 유효성 검증 능력을 우선시한다. 권위 증명은 참가자가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보상을 받을 권리를 대신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 (Proof of stake) 더 많은 지분(코인)을 가질수록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할 권한이 더 많이 부여됩니다. 3세대 코인서부터는 대부분 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PoW (Proof of Work) 논스를 입력한 뒤 연산하여 출력한 값이 블록에서 설정된 난이도보다 낮은 값 이면 블록이 생성되는데 이를 작업증명이라 합니다.
Private Blockchain 폐쇄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기도 하며, 기관 또는 조직에서 권한(허가)을 통해 관리되는 블록체인입니다.
Private Key 개인키에 대한 소유권 및 통제 여부가 개인키에 대응하는 비트코인 주소와 연관된 모든 돈 에 대한 통제와 연결됩니다.
Public Blockchain 공개형 블록체인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전 세계의 누구나 모두 읽고 거래 정보를 발송하고 거래가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으며, 누구나 합의 과정의 블록체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Public Key 개인키로부터 연산 되어 생성된다. 공개키로 블록체인 거래에서 해당 공개키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거래들이 참인지 거짓인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이 공개키로부터 비트코인 주소가 생성됩니다.
Scalability 블록에서 시간 당 기록 될 수 있는 거래 데이터의 용량입니다.
Scaling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성능과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Seed 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노드가 이웃 노드와 연결되기 위해 사용되는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노드를 뜻합니다.
Segregated Witness 서명부분을 따로 Witness라는 데이터 영역으로 분리시켜 더 많은 거래를 처리 할 수 있도로 업데이트 하여 거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는것입니다.
SHA-256 암호화폐에서 널리 사용되는 해시 알고리즘 중 하나로, 블록체인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Sharding 샤딩이란  L1블록체인을 여러 개의 체인, 혹은 샤드(shards)로 쪼개는 것을 의미. 쉽게 말해, 이더리움 체인을 여러 개의 하위 체인(샤드)들로 분할한 뒤, 노드들을 그룹 별로 나누어 샤드 당 한 그룹씩 배치시킵니다.
Sidechain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별도의 체인으로, 메인 체인(주 체인)과 연결되어 상호 작용합니다. 사이드체인은 메인 체인과는 분리된 독립적인 블록체인이지만, 일정한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거나 특정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Slippage 거래 실행 시 실제 체결 가격과 기대했던 가격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슬리피지는 유동성 부족이나 거래량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mart Contract 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 결하고 이행하는 것입니다.
Snapshot 스냅샷은 에어드랍이랑 연관성이 있습니다. 특정 암호화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코 인을 제공하므로 해당코인을 가지고 있는 기준이 언제이며, 그 기준시간때에 사진처럼 기록을 하 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oft Fork 하드포크와 같이 업데이트 되는 체인이 새로 생기며 포킹을 하지만 기존의 체인과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S 2013시리즈를 가졌는데 2010버전도 쓸 수 있는 것과 유사합니다.
SPV (Simple Payrment Validation) SPV 노드는 모든 거래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블록헤더만을 다운로드 한다. 확인하려는 거래가 블록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머클경로를 이용한다.
Stable Coin 법정화폐 또는 실물 자산을 기준으로 가격이 연동되는 암호화폐를 뜻합니다.
Staking 특정 암호 화폐를 사용하면 스테이킹되는 동안 정기적으로 해당 총액의 일정 비율을 받는 대가로 토큰 덩어리를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State Channel 스테이트 채널은 특정 참여자들간의 거래를 블록체인 밖에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거래(또는 게임)의 규칙을 기록해둔 스마트 컨트랙트를 메인 체인에 올려놓고, 블록체인 외부에서 거래를 진행합니다.
STO (Security Token Offering) 암호화폐 기술을 활용하여 발행되는 보안 토큰의 공개 판매를 의미합니다. STO는 규제 및 투자자 보호를 준수하며, 투자자에게 실물 자산이나 이익 배분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Testnet 기존의 플랫폼으로부터 독립된 자체 메인넷 블록체인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Thrid-Party Oracle 써드파티 오라클은 제3자인 데이터 검증자가 데이터를 취합하고 검증을 하는 오라클을 말합니다. 써드파티 오라클은 오라클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오라클이라는 미들웨어가 탄생했을 때부터 이 형태로 사용이 되어 왔습니다.
Token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메인넷)가 아닌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여 발행할 수 있는 암호화폐입니다.
Token Swap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토큰을 메인넷 기반 코인으로 맞교환하는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토큰을 모두 소각하고, 보유자에게는 새로운 코인으로 변환해준다.
Total Supply 이미 발행된 토큰 수량에서 소각된 물량을 제외한 숫자입니다.
TPS (Transaction per Second) 초당 트랜잭션 수로, 블록체인이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속도 단위입니다.
Traffic 트래픽은 네트워크 내부에 일정 시간 동안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뜻합니다.
Transaction 블록체인 거래 과정에서  전송되는 서명된 정보를 의미하며 하나의 문자열로 생성됩니다.
Transaction ID  TxID는 트랜잭션 데이터 전체에 대한 해시값(데이터를 문자열로 치환)이다. 해시값은 데이터가 조금만 달라져도 전혀 다른 값이 되며 이를 이용해 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록을 조회 및 식별할 수 있다. 지갑 주소, 수량, 컨펌 수, 시간 등의 확인이 가능하다.
Transaction Malleability 거래 내역은 동일하나 거래 ID를 바꿔 새로운 거래내역을 만드는 것으 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주민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중지불의 위험성도 존재하게 된다.
Transparency 블록체인은 거래 기록과 계약 상태를 공개적으로 공유하므로, 모든 참여자들은 블록체인 내의 정보에 대해 열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뢰성과 거래의 투명성을 증진시키며, 부정행위와 중간자의 개입을 줄여줍니다.
Turing Incomplete 비트코인의 언어인 '스크립트'는 복잡성이 제한되고 실행시간이 예측이 가능 하다. 이는 비트코인이 '화폐'로서의 역할만 가능하게 하는데, 이때 스크립트가 '튜링 불완전'하다고 한다.
TVL (Total Volume Locked) 디파이 프로토콜 등 스마트 컨트랙트에 예치되어 있는 총자산의 규모를 뜻합니다. 대부분의 디파이 프로젝트에는 자금을 예치하거나, 담보를 맡기고 대출을 할 수 있다거나, 유동성 풀을 제공하는 등의 기능이 있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에 자산이 묶이게 되는데 그 규모를 볼 수 있는 지표가 총 예치 자산입니다.
UAHF(User Activated Hard Fork)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해시파워를 자랑하는 Bitmain 채굴회사에서 진행한 하드포크 계획. Segwit에 대항한 채굴자들은(블록 내부내용을 완전히 뒤바꾸는 업데이트를 하게되 면 기존 채굴기가 무용지물이 되므로) 비트코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블록의 크기를 2MB로 제한을 두고 늘리겠다는 대안을 내놓는데 이것이 UAHF입니다.
UASF(User Activated Soft Fork) BIP 148 (플랜이름 중 하나)이라고도 한다. 지난 11월에 Soft fork인 Seg wit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채굴노드들이 업데이트를 반대하게 되는데 이때 개발자를 비롯한 노드들이 동의를 거쳐 채굴노드들과의 합의없이 강제로 진행하려 했던 Segwit Soft Fork이기도 하다.
UTXO (Unspent Transaction Output) 소비되지 않은 거래 출력값으로, 아직 인출 되지 않고 지갑에 남아있는 있는 비트코인의 잔액을 뜻합니다.
Web3.0 현재의 중앙집중형 인터넷을 대체하는 탈중앙화된 인터넷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개인 데이터의 소유와 제어를 갖고, 신뢰성 있는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인터넷의 진화입니다.
Whitelist '화이트리스트'는 암호화폐 및 NFT에 대한 사전 판매 목록입니다.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투자자는 공개 출시 전에 자산을 구매할 수 있으며 때로는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Wormhole Wormhole은 자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러 체인을 연결하는 무신뢰(trustless) 및 무허가(permissionless) 메시징 프로토콜입니다.
ZK-Rollup (Zero-Knowledge Rollup) 블록체인 스케일링 기술 중 하나로, 주요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직접 기록하는 대신, 상태 업데이트를 압축한 Merkle Tree로 구성된 롤업 컨트랙트에 증거로 제출합니다. 이를 통해 롤업 컨트랙트가 상태 업데이트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블록체인에 증거를 제출함으로써 보안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ZKP (Zero-Knowledge Proof) 증명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면서, 그 지식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검증자에게 증명하는 시스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