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er 0
L0에 대표적으로 크로스 체인(Cross Chain), 인터체인(Interchain), 브릿지가(Bridge) 있습니다.

- 크로스 체인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 암호화폐, NFT 등을 교환하는 기술과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크로스 체인을 통해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성이 이루어집니다.
- 인터체인은 크로스 체인을 구현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에 상호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현입니다.
- 브릿지는 크로스체인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브릿지는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연결하여 자산이나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주로 크로스체인 브릿지로 불립니다)
크로스 체인과 인터체인 모두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체인 개념이지만, 연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검증 과정에서 다른 차이점을 보입니다. 인터체인은 ‘토큰 교환’에 검증 과정을 중점으로 둔다면, 크로스 체인은 ‘데이터교환 및 비교’에 검증 과정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데이터 교환 및 비교'에는 ‘토큰 교환’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크로스 체인이 인터체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인터체인 ⊂ 크로스 체인)
크로스 체인(블록체인간 상호운용성)
크로스 체인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 암호화폐, NFT 등을 교환하는 기술과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정보 교환을 통해 네트워크 간 트랜잭션을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고, 메세지도 교환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크로스체인 상호 운용성 솔루션입니다.
체인링크(Chainlink)

CCIP(Cross-Chain Interoperability Protocol) 모든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이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계약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표준입니다. 프로토콜은 본질적으로 일반화되어 스마트 계약이 체인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유형의 데이터 전달을 지원합니다. 일반화된 교차 체인 상호 운용성은 개발자에게 기본 프로토콜의 복잡성을 처리하지 않고 교차 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현재 CCIP는 출시되었지만 지원되는 네트워크가 이더리움, 옵티미즘, 아발란체, 폴리곤으로 한정되어있습니다.
(최근 현황: '23.07 https://blog.chain.link/cross-chain-bridge/?_ga=2.67911252.417549364.1686789686-827514575.1686789686#how_ccip_is_being_built_to_enable_secure_cross-chain_bridging https://docs.chain.link/ccip/supported-networks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92137 )
레이어제로(LayerZero)

LayerZero는 체인 간 경량 메시지 전달을 위해 설계된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입니다. LayerZero는 구성 가능한 무신뢰로 확실하고 보장된 메시지 전달을 제공합니다. ULN(Ultra-Light Nodes)으로 블록체인 간 가벼운 메시지 전달을 위한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로 구성 가능한 무신뢰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 전달을 제공합니다.
현재 전체적인 크로스 체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LayerZero 메세지 플로우의 기반으로 볼 수 있는 LayerZero Endpoint컨트랙트가 각종 메인넷에 배포되고 있습니다
(최근 현황: '23.06 https://layerzero.gitbook.io/docs/technical-reference/mainnet/supported-chain-ids, ETH, BNB, AVAX, APT, MATIC, OP, CELO, KLAY, ARB 외 17개)
웜홀(Wormhole) 2.0

웜홀 2.0은 크로스 체인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인 동시에 개발자가 분산 컴퓨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생태계입니다. 웜홀 1.0은 2020년에 도입되었으며 처음에는 Ethereum과 Solana 사이의 토큰 교환이 가능한 인터체인 기능만 수행했습니다. 2021년 부터 웜홀 2.0을 발표하면서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성이 가능한 크로스 체인 생태계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온체인과 오프체인 구조가 연동된 아티텍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현재 크로스 체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핵심적인 부분은 전부 개발 중에 있습니다.(개발된 부분은 기존 웜홀 1.0 기능)
(최근 현황: ‘23.03 https://book.wormhole.com/wormhole/2_architectureOverview.html)
인터체인(크로스 체인을 구현하는 프레임워크)
인터체인(Interchain)이란 다른 블록체인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인터체인을 사용하면 A라는 암호화폐로만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인터체인으로 연결된 B라는 다른 암호화폐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인터체인은 대표적으로 코스모스, 폴카닷이 있습니다. 코스모스, 폴카닷은 자산 교환 외에, 트랜잭션 및 데이터 교환도 가능하기 때문에 크로스 체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코스모스와 폴카닷은 프레임워크 관점에서 인터체인이며, 상호 운용성에서 크로스 체인 기능을 가집니다. 토큰 교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차이점이 있습니다.
코스모스 IBC(Inter Blockchain Communication)
코스모스 IBC는 다음과 같이 토큰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A 블록체인에서 B 블록체인으로 토큰이 교환되는 과정입니다)
- A 블록체인에 A-Token이 락업됩니다.
- A 블록체인에 A-Token이 락업된 사실이 B 블록체인으로 전송됩니다
- 2번의 과정이 검증되면 B 블록체인에 초기에 락업된 A-Token과 동일한 가치의 바우처가 생성됩니다.
실제 A-Token은 A 블록체인에 락업되어 있고, B 블록체인은 A 블록체인에 락업되어 있는 A-Token과 동일 가치의 바우처가 생성됩니다. A 블록체인에 락업되어 있는 A-Token은 사용할 수 없고 담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토큰이 A 블록체인에서 B 블록체인으로 교환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폴카닷 XCM(Cross Consensus Messaging)

폴카닷 XCM은 다음과 같이 토큰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Source에서 Destination으로 토큰이 교환되는 과정입니다)
- Source에서 교환할 토큰을 소각하고, 소각된 양을 기록합니다
- Reserve에서는 Source에서 소각된 토큰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 토큰을 민팅합니다.
- Reserve에서 민팅된 토큰은 Destination으로 전송되어 토큰 교환이 완료됩니다
Reserve는 신뢰된 제3 객체로 Source에서 소각된 토큰의 가치와 동일하게 Destination에서 사용되는 토큰을 민팅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토큰을 교환합니다.
브릿지(크로스 체인을 지원하는 기술)
브릿지는 일반적으로 크로스 체인 브릿지로 불립니다. 브릿지는 독립된 블록체인들을 연결하여 자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다른 프로토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브릿지를 통해 독립된 블록체인들간에 토큰을 교환하거나 NFT를 교환할 수 있게 됩니다. 독립된 블록체인들 간 연결은 모두 브릿지 방식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브릿지는 여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자산 교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분류 됩니다.
a) 잠금 & 발행(Lock & Mint)
소스 체인의 자산을 잠그고 대상 체인에 래핑시킨(wrapped) 자산을 발행합니다. 대상 체인에서 새로 발행된 자산은 소스 체인에서 잠긴 토큰을 교환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행된 토큰은 소각됩니다.
ex. 폴리곤 PoS 브릿지, 아발란체 브릿지, 솔라나 웜홀브릿지
b) 소각 & 발행(Burn & Mint)
소스 체인의 자산을 태우고 대상 체인에 자산을 발행합니다. 사용자가 자산을 소스 체인으로 다시 전송할 때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됩니다.
ex. Hop 브릿지
c) 아토믹스왑(Atomic Swaps)
소스 체인의 자산과 대상 체인의 자산을 직접 교환합니다.
ex. cBridge
동작 방식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a) 제3자 신용 기반 브릿지
해당 브릿지는 운영을 위해 중앙 기관 통제 구조로 동작합니다. 사용자는 해덩 브리지를 사용하고 자금을 보관하기 위해 제3자를 신뢰해야 합니다. 제3자를 거쳐 브릿지가 작동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지만 보안성이 높습니다.
ex. 폴리곤 PoS 브릿지
b) 제3자 신용이 필요없는 브릿지
해당 브릿지는 중앙 기관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동작합니다. 브릿지 동작이 자동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지만 보안성이 낮습니다.
ex. Hop 브릿지
연결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a) L1-L1 브릿지
해당 브릿지는 서로 다른 L1 블록체인을 연결합니다.
ex. 이더리움과 아발란체를 연결하는 아발란체 브릿지
b) L1/L2-L2 브릿지
1번의 L1-L1 브릿지 이외의 모든 브릿지는 L1/L2-L2 브릿지가 됩니다.
ex. 폴리곤 PoS 브릿지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용어 정리 - 3 (사이드체인, 스테이트 채널, 롤업, 플라즈마, 발리디움) (3) | 2023.10.10 |
---|---|
Hyperledger Indy SDK 맥북(M2) 환경에서 구동하기 (3) | 2023.10.10 |
자주 사용하는 블록체인 단어 A to Z (1) | 2023.10.10 |
블록체인 용어 정리 - 1 (레이어 관점에서의 블록체인) (0) | 2023.10.05 |